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기초 인테리어 용어 안내: DIY 초보자를 위한 필수 가이드

by 몽베어 2024. 10. 29.

 인테리어에 도전하고자 하는 초보자들이 알고있으면 좋은 용어들을 소개하는 포스팅입니다. 평소 인테리어에 관심이 없던 사람이라면 기초적인 인테리어 용어도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인테리어에 사용되는 용어의 기초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나면 집 안을 더욱 아름답고 실용적으로 꾸미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인테리어 기초 용어를 공간 구성 및 레이아웃, 마감재 및 소재, 그리고 조명과 색채 세 가지 카테고리로 나누어 알아보겠습니다. 소개드리는 기본 용어들을 이해하고 활용한다면 DIY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데 큰 자신감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1. 공간 구성 및 레이아웃

1) 플로우(Flow)

 플로우는 공간 내에서 사람이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는 흐름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주방에서 거실까지의 동선이 어떻게 구성되는지, 가구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는지에 따라 플로우가 결정됩니다. 좋은 플로우를 가진 공간은 움직임이 원활하고 편안한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2) 파티션(Partition)

 파티션은 공간을 분리하는 데 사용되는 벽이나 구조물입니다. 벽으로 이루어진 고정형 파티션부터 이동 가능한 접이식 파티션까지 다양한 형태가 있습니다. 파티션을 통해 공간을 적절히 나누어 프라이버시를 확보하거나 개별적인 기능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3) 오픈 플랜(Open Plan)

 오픈 플랜은 벽이나 장애물이 없는 개방적인 레이아웃으로, 주로 거실과 주방을 함께 사용하는 형태로 나타납니다. 오픈 플랜은 공간을 더 넓고 시원하게 느껴지게 하며 가족 구성원들이 더 가까이 소통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닙니다.

4) 포컬 포인트(Focal Point)

 포컬 포인트는 공간에서 시선을 끄는 주된 요소로, 벽화, 벽난로, 큰 창 등이 포컬 포인트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공간에 포인트를 줄 수 있으며, 전체적인 분위기를 더 잘 표현할 수 있습니다.

2. 마감재 및 소재

1) 페인트 피니시(Paint Finish)

 페인트 피니시는 벽에 사용되는 마감처리로, 페인트가 어떤 질감을 가지는지를 의미합니다. 광택(Glossy), 반광(Semi-Gloss), 매트(Matte) 등 여러 종류가 있으며, 각각의 질감은 공간의 분위기와 기능에 따라 선택됩니다.

2) 타일(Tile)

 타일은 벽과 바닥에 사용되는 마감재로, 주방이나 욕실처럼 물과 자주 닿는 공간에 많이 사용됩니다. 세라믹 타일, 대리석 타일, 모자이크 타일 등 다양한 종류와 스타일이 있어 공간에 따라 개성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3) 목재(Flooring)

 목재는 따뜻하고 자연스러운 분위기를 주기 때문에 거실이나 침실에 자주 사용됩니다. 원목, 합판, 라미네이트 등 다양한 소재와 마감처리가 있으며, 내구성, 가격, 그리고 관리 필요성에 따라 적합한 목재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4) 석고보드(Gypsum Board)

 석고보드는 벽이나 천장 마감재로 사용되며, 내화성, 방음성이 뛰어나 주택 내부 마감재로 많이 쓰입니다. DIY 초보자도 설치가 비교적 쉬워 벽 수리나 간단한 공간 분리 작업에 적합합니다.

3. 조명과 색채

1) 주조명(Ambient Lighting)

 주조명은 공간 전체를 밝히기 위한 기본 조명으로 천장에 설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공간을 고르게 밝히는 역할을 하며, 주로 집 전체의 분위기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2) 보조조명(Task Lighting)

 보조조명은 특정 작업을 돕기 위한 조명으로, 주로 주방 작업대, 책상, 화장대 등에서 사용됩니다. 보조조명은 주조명보다 강한 빛을 제공해 필요한 곳을 밝히는 역할을 합니다.

3) 간접조명(Accent Lighting) 간접조명은 공간의 특정 부분을 강조하기 위한 조명입니다. 액자 뒤, 천장 가장자리 등 눈에 보이지 않는 부분에 설치하여 은은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습니다.

4) 색상환(Color Wheel)

 색상환은 인테리어에서 다양한 색상 조합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되는 툴입니다. 인테리어 디자인에서는 보통 유사색(옆에 있는 색상들)과 보색(반대편에 있는 색상들)을 조합하여 조화를 이룹니다. 색상환을 이해하고 사용하면 더욱 세련된 컬러 스킴을 연출할 수 있습니다.

 

 인테리어 용어에 익숙해지면 DIY로 집을 꾸밀 때 자신감을 얻을 수 있습니다. 기본적인 용어를 이해하면 공사 방법과 필요한 재료를 더 잘 파악하게 되어, 프로젝트 진행이 더 원활해질 수 있을 것입니다. 인테리어 용어는 디자인의 기초가 되는 개념이므로, 이를 이해하고 활용하여 성공적인 DIY를 응원하겠습니다.